● 개요
Creatinine은 GFR 추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내인성 물질로서 근육의 크레아틴 인산과 크레아틴으로부터 생성되며, Creatinine의 증가는 신전성 인자(탈수, 심부전 등), 신성인자(사구체신염, 간질성신염 등), 신후성 인자(요로폐색 등) 등에서 볼 수 있고 또한 근육량의 증감에 의해서도 영향 받는다.
● EGFR
혈청에서 측정한 크레아티닌 결과만을 이용하여 GFR 추정치(eGFR) 을 구할 경우 소변을 모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임상에서 널리 이용된다. 이중 흔히 이용되는 eGFR 공식은 성인의 경우 Cockroft-Gault 공식,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공식,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CKD-EPI) 공식 등이 있다.
Cockroft-Gault 공식은 성별과 나이에 따른 근육량의 차이(크레아티닌의 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eGFR의 변이를 줄이긴 하였으나, 몸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육량이 적은 비만, 부종, 만성쇠약자 등의 경우 eGFR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는 단점과 신세뇨관에서의 크레아티닌 분비로 유발되는 변이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MDRD 공식은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eGFR 공식으로 대규모의 만성신장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125I-thalamate 청소율로 검증된 방법이다. Cockroft-Gault 공식과는 달리 몸무게가 필요치 않으며 체표면적을 보정한 값을 제공한다.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나이, 성별, 인종, 크레아티닌에 BUN과 알부민이 포함된 6개의 변수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4개의 변수(나이, 성별, 인종, 크레아티닌)만으로 단순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MDRD 공식이 개발되었을 때 이용되었던 크레아티닌 측정법은 rate Jaffe법으로 이 방법은 ID-MS 기준방법과 비교했을 때 양성 바이어스를 보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ID-MS 기준법에 맞춘 크레아티닌 검사법을 사용하는 경우 과거 rate Jaffe법보다 크레아티닌 결과가 낮게 나오게 되므로 기존 공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상수값을 낮게 조정한 수정 공식(ID-MS traceable MDRD공식)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MDRD 공식이 Cockroft-Gault 공식보다 GFR 추정에 있어 더 정확하지만 GFR이 높을수록 정밀도가 떨어지고, 음성 바이어스를 보여 eGFR 값이 과소평가된다는 단점을 갖기 때문에, 정상 이상의 GFR을 갖는 경우 MDRD 공식 대신 음성 바이어스를 줄이도록 고안된 CKD-EPI 공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소아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Cockroft-Gault 공식, MDRD 공식, CKD-EPI 공식들을 사용하지 않고, 소아의 키와 혈청 크레아티닌 값을 이용한 Schwartz 공식을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공식에 의한 GFR 추정은 크레아티닌의 생산속도와 소변으로의 배출 속도가 같다는 가정이 성립되는 만성 상태에서 유용하며, 크레아티닌의 빠른 증가와 회복을 보이는 급성신장부전의 경우엔 이 공식들이 유효하지 않으므로 이 때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도록 한다.
● EGFR 계산식
• MDRD (4-variable, not ID-MS traceable)
eGFR(ml/min/1.73m2) = 186*Scr-1.154*Age-0.203*0.742 if female*1.212 if Black
• MDRD (4-variable, ID-MS traceable)
eGFR(ml/min/1.73m2) = 175*Scr-1.154*Age-0.203*0.742 if female, *1.212 if Black
• CKD-EPI (ID-MS traceable)
eGFR(ml/min/1.73m2) = 141*min(Scr/κ,1)α *max(Scr/ κ,1)-1.209*0.993Age*1.018 if female, * 1.212 if Black
κ = 0.7 for females and 0.9 for males
α = -0.329 for remales, -0.411 for males
min : minimum of Scr/κ or 1
max : maximum of Scr/κ or 1
• Schwartz
eGFR(ml/min/1.73m2) = (0.55*Height in cm/Scr)
● 결과의 해석
① 증가
• 탈수, 심부전, shock, 사구체신염, 간질성신염, 요관 결석, 전립선비대, 말단비대증 등
② 감소
• 간부전, 저단백식, 임신, 다뇨 등
● 추천 검사
• Electrolyte
• BUN
● 참고문헌
• 대한진단검사의학회편. 진단검사의학 제5판 416-7.